kubernetes multi-node cluster 구성하기

kubernetes 공식 문서에서는 다양한 kubernetes cluster 구성 전략 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 docker를 이용한 cluster 구성 방식(portable multi-node)으로 multi-node cluster 를 구성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설치 후 알게 된 사실

portable multi-node 는 kubernetes developer community 에서 업데이트가 뜸하다.  대신 kubeadm 활동이 활발하다.(관련링크) 아직 alpha release 이므로 좀 더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렸다가(얼마 안남은 듯) kubeadm 으로 cluster 구성하는 것을 추천한다.

prerequisite
docker 만 있으면 됨
필자는 centos 7 에 설치하였다.

docker 설치
docker 설치는 이 사이트에서 하란대로 하면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환경에 따라 docker daemon 이 올라오지 않는 문제가 있다.
필자의 경우에는 docker0 라는 가상 bridge 가 생성되지 않아서 강제로 docker0 브릿지를 생성하였다.

brctl addbr docker0
ip addr add 192.168.5.1/24 dev docker0
ip link set dev docker0 up
iptables -t nat -L -n

gnome gvfs 에서 io 를 엄청나게 점유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관련 app / service 를 모조리 uninstall 하고 reboot 하자.

kubernetes docker image 설치

이 글을 쓰는 도중 kubernetes documentation 에서 docker multi-node 구성이 지워졌다.

앞으로는 kubeadm 으로 multi node 구성하면 된다. (링크 : https://kubernetes.io/docs/getting-started-guides/kubeadm/)

내가 이 글을 쓴 이유가 공홈 다큐멘테이션 대로 docker multi node 구성하면 설치가 안되기 때문이었는데 글 쓸 이유가 사라졌다.(ㅠㅠ)

글은 여기서 줄인다. 아마도 kubeadm 으로 설치하면 한방에 잘 설치 될거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