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X 환경에서 CI/CD 자동화

현 시점에선 이 구성을 사용 안하지만 조사해 둔 내용이 아까워서 osx 환경에서 CI / CD 자동화 관련 참고할만한 문서 링크들을 정리해 둔다.

결론부터…

  • 여러 버전의 ios sdk 관리는 xcode-select / xserver 사용
  • unreal 이나 unity 같이 gpu / 하드웨어 특성을 타는 빌드 환경이 아니라면 vagrant
  • 하드웨어 종속성 탓에 물리적인 빌드환경이 필요하다면 ansible

ios sdk 빌드 관련 문서

원칙적으로 sdk는 하위 호환성을 보장하여야 한다. 허나 현실에서 반드시 최신 버전의 빌드도구가 하위 버전을 지원한다는 보장은 없다. 여러 프로젝트를 하나의 머신에서 빌드해야 하는데 sdk나 서드파티 라이브러리 버전이 서로 배타적일 때, 모든 프로젝트의 빌드환경을 만족하는 구성을 관리하는건 손이 많이 가는 일이다. 특히 ios sdk 의 패키지 / 종속성 관리는 애플에서 제공하는 대로 따르는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더욱 귀찮다.애플에서 제공하는 문서를 잘 찾아보고 읽어야 한다.

인프라 자동화 관련 문서

osx가 리눅스나 윈도우처럼 docker 환경을 지원한다면 빌드환경을 구성하는게 편했을텐데 아쉽게도 osx 는 docker를 지원하지 않는다. vm 환경 또한 구성하는게 편하지는 않다. 공식적으로 os image 다운로드 링크를 제공해주지도 않을 뿐더러, osx 이외에 다른 host os 에서 osx vm을 실행하는건 불법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떻게든 vm 환경을 구성할 수 있으며, vagrant 같은 vm 관리도구로 인프라를 자동화할 수 있다.

하지만 unreal 이나 unity 처럼 gpu 하드웨어에 종속적인 개발환경을 병행하여야 한다면 vm으로 빌드 인프라를 구성할 수는 없다. 이런 경우에 쓸 수 있는 좋은 솔루션으로 ansible을 추천한다. ansible galaxy 에는 ios 개발환경을 쉽게 자동화할 수 있는 양질의 레시피들이 제공되므로 참고해 보길 바란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